3. 커패시턴스
[1] 정전기와 정전기력
① 정전기 : 대전에 의하여 얻어진 전하가 절연체 위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는 것.
② 대전 : 어떤 물질이 양(+)전기나 음(-)전기를
띠는 현상.
③ 정전기력 :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 전기력, 정전력.
같은 전하는 반발력, 다른 전하는흡인력이작용한다. |
[2] 정전 유도
① 정전 유도 : 대전체 A에 대전되지 않은 도체 B를 가까이 하면 A에 가까운
쪽에는 다른 종류의 전하가, 먼 쪽에는 같은 종류의 전하가 나타나는 현상.
② 충전 : 전기적으로 중성인 대전체가 전하를 가지게 되는 것.
③ 접지
: 대지에 도체를 연결시키는 것.
④ 방전 : 대전체가 가지고 있던 전하를
잃어버리는 것.
[1] 커패시턴스
① 커패시턴스 : 전극이 전하를 축적하는 능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상수로서 전극의 형상 및 전극 사이를 채운 유전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값.
C=Q/V[F] |
② 1[F] : 두 도체 사이에 1[V]의 전압을 가하여 1[C]의
전하가 축적된 경우의 정전 용량.
③ 단위 : 패럿(farad, [F])
1[㎌]=10-6[F],1[㎋]=10-9[F],1[㎊]=10-12[F] |
[2] 콘덴서의 구조
① 커패시터 : 2개의 도체 사이에 유전체를 끼워넣어 커패시턴스 작용을 하도록
만들어진 장치. 콘덴서
C=εA/l[F] |
여기서, C : 커패시턴스[F], ε : 유전율[F/m], l : 극판간의
간격[m], A : 극판의 면적[m2]
② 큰 정전용량의 콘덴서를 얻는 방법
- 극판의 면적을
넓게 함
- 극판 간의 간격을 좁게 함
- 비유전율이 큰 절연체를 사용함
[3] 콘덴서의 종류
◆콘덴서- 가변콘덴서, 고정콘덴서( 마일러 콘덴서, 마이카 콘덴서, 세라믹 콘덴서, 전해 콘덴서 )
(가) 가변 콘덴서 :
전극은 고정 전극과 가변 전극으로 되어 있고 가변 전극을 회전하면 전극판의
상대 면적이 변하므로 정전 용량이 변함. 공기 가변 콘덴서(바리콘)가 대표적.
(나) 고정 콘덴서
① 마일러 콘덴서 : 플라스틱 필름이 유전체, 용량의 정밀도 높고, 주파수 특성이
우수
② 마이카 콘덴서 : 운모와 금속박막으로 됨. 온도 변화에 의한 용량
변화가 작고 절연 저항이 높은 우수한 특성. 표준 콘덴서
③ 세라믹 콘덴서
: 비유전율이 큰 산화 티탄 등이 유전체,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 가장 많이 사용.
④ 전해 콘덴서 : 전기 분해하여 금속의 표면에 산화피막을 만들어 유전체로
이용. 소형으로 큰 정전 용량을 얻을 수 있으나, 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류회로에는
사용할 수 없다.
[1] 병렬 접속
Q1=C1V[C], Q2=C2V[C], Q3=C3V[C]
Q=Q1+Q2+Q3=C1V+C2V+C3V=(C1+C2+C3)V[C]
∴C=Q/V=C1+C2+C3[F] |
[2] 직렬 접속
V1=Q/C1[V], V2=Q/C2[V], V3=Q/C3[V]
V=V1+V2+V3=Q/C1+Q/C2+Q/C3=(1/C1+1/C2+1/C3)Q[V]
∴C=Q/V=1/(1/C1+1/C2+1/C3)[F] |
[1] 콘덴서로 유입되는 에너지
① 정전 에너지 : 콘덴서를 충전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W=1/2QV=1/2CV2=Q2/(2C)[J] |
[2] 유전체 내의 전기장의 에너지
① 정전 에너지 : W=1/2CV2=1/2CV·V=1/2Q·El=1/2Ψ·El=1/2DEAl[J]
② 단위 체적당 에너지 : W0=W/(Al)=1/2DE=1/2εE2=1/2·D2/ε[J/m3]
① 정전 흡인력 : F0=1/2ε0E2[N/m2]
② 접전 흡인력의 이용
- 정전 전압계
- 정전 집진
장치 : 먼지 등의 작은 입자를 제거하는 장치
- 정전기록
- 정전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