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ed Diode)

led.jpg 발광 다이오드는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용도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적색, 녹색이 많지만, 청색을 발광하는 LED도 있다. 노랑색도 있고...
좌측에 나타낸 사진에서 맨 우측에 있는 LED는 하나의 LED에 적색과 녹색의 것이 함께 들어 있는 것입니다. 리드(다리)가 3개 나와 있는데, 중앙에 있는 리드가 공통단자이고, 한쪽이 적색용, 다른 한쪽이 녹색용이다. 제각기 점등시킬 수도 있고, 양쪽을 동시에 켜면 오렌지색으로 됩니다.. 학교때에는 3색 LED라고 불렀던것 같습니다..

발광 다이오드의 극성의 확인 방법은 신품의 경우에는 리드선이 긴 쪽이 애노드(ANODE), 짧은 쪽이 캐소드(CATHODE)입니다.. 극성이 모르는 경우에는 1.5V의 전지를 접속하여 확인하거나, 테스터를 저항 측정 모드로 해서 확인합니다. 테스터로 확인하는 경우에는 저저항 측정 레인지에서 적색과 흑색의 테스터 봉을 LED가 발광하도록 다이오드의 리드에 각각 접속합니다. 발광하지 않을 경우에는 테스터 봉을 반대로 접속합니다. 발광하고 있는 다이오드에 접속하고 있는 흑색의 테스터 봉쪽이 애노드입니다. 테스터에 있어서 저항 측정 모드의 경우, 흑색 쪽에 플러스 전압이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의 경우는 LED를 보면 금방 +인지 -인지 알수 있는데 아직까지 다른 종률르 보지 못했습니다. 방법은 LED속을 보면 서있는 단자와 (반듯한 1字) 누워있는 단자 (ㄱ字형상) 가 보입니다. 서있는 단자쪽이 플러스입니다..여기서 애노드, 플러스, +는 같은 의미로 보아도 좋을 것 같군요.

ledlog.gif 보통 POWER SUPPLY이나 각종 기계나 전자 제품 ,장비등의 SEQUENCE의 동작을 눈으로 쉽게 확인하기 위한 회로구성이 많습니다.발광 다이오드의 특이한 사용법으로 정전압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옆의 회로에서처럼 발광 다이오드는 순방향의 전압강하(VF)가 거의 2V로 생각보다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다만 소전력 회로에 국한된 이야기지만 카세트정도는 문안하다고 생각이드는군요..
 목차 페이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