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영상 정보의 입·출력 장치
♣ 영상 입력
장치 : 실제 어떤 장소의 풍경, 인물 또는 사진, 종이에 기록된 내용 등으로부터
이를 모니터상에 나타내거나 처리를 위하여 전기적 신호 형태로 바꾸는 것.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최초의 처리 장치.
[1] ITV 카메라
☞ ITV 카메라 : 약 1/15초 동안에 1화면분의 영상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이를 공업용 카메라라고 함. 카메라 렌즈로부터 받아들인 빛에너지를 전기 에너지 형태로 바꾸는 장치. 이와 같은 광전 변환을 하는 것은 촬상관이 담당.
[2] 비점 주사기(FSS)
☞ 비점 주사기 :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장치. 원고면상을 평면 주사해서 화상 신호를 얻는다. 또, 원고면상에 필름을 붙여 빔의 광량을 휘도 신호에 따라 변조시키며, 화상의 기록 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3] 이미지 스캐너
☞ 팩시밀리에서의 원고를 원통에 감는 수고를 덜고, 복사기처럼 원고를 종이 그대로 취급하는 평면 주사 방식의 입력 장치가 개발. 주로 PC의 2차 화상 입력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
[4] 고체 이미지 센서
☞ 고체 이미지
센서 :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소자. 소형화, 고신뢰화,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하는 데 사용됨. MOS형 고체 이미지 센서, CCD.
♣ 대화형 입력
장치 : 사용자가 어떤 입력 신호를 보내고 영상 기기 또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를
처리하는 기기에서 그에 대한 응답을 화면 또는 소리로써 나타내면, 다시 이를
사용자가 그 다음의 일련의 작업 또는 명령을 보내는 입력 장치
[1] 디지타이저
☞ 디지타이저 : 2차원 평면상에 위치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수치 변환하는 장치.
[2] 라이터 펜 방식
☞ 라이터 펜 방식 : CRT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어 있는 그림과 문자 등을 대화 형식으로 지시하는 것. 어떤 작업을 하기 위한 명령 및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에 표시하여, 이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때에 라이터 펜으로 희망하는 메뉴 등의 항목 위를 덧그림으로써 입력이 행해짐.
[3] 터치 패널
☞ CRT 디스플레이
상에 투명한 전용 플레이트를 붙이고,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어 있는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에 터치 패널이 있다.
♣ 영상 출력
장치 :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는 전기 신호를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장치.
[1] 하드 카피 장치
☞ 하드 카피 장치 : 장시간 보존이 가능한 화상을 작성. 화상을 가시화하는 방법에는 프린트 방식, 스캔 방식, 라이트 방식으로 분류.
[2] 소프트 카피 장치
☞ 하드 카피에 의한 화상의 가시화 과정은 비교적 긴 시간을 효한다. 따라서, 고속 표시를 목적으로 한 각종 소프트 카피 장치들이 보급되어 있다. 소프트 카피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텔레비전 수상관인 CRT를 들 수 있다.
(가) 액정 디스플레이(LCD) : 가볍고 얇을 뿐 아니라, 전력 소모가 적으며 근본적으로 액정이 가지는 고체와 액체의 이중적인 성질과 전기장이나 표면력과 같은 외부의 힘들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는 성질로 인해 여러 산업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 향후 CRT를 대체할 만한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디스플레이로서, 후막 기술을 이용한 저가격 및 대형화의 이점.
[맨위로] [통신기기] [앞으로] [뒤로] [형성평가]